본문 바로가기

InfoPost

삼우제뜻 삼우제절차 삼우제그리고삼오제

삼우제뜻 삼우제절차 '삼우제'그리고'삼오제'의 뜻은? 삼우제는 장례를 치른 날로부터 3번째, 또는 5일마다 한번씩 지내는 제사입니다.

즉 망자의 혼백을 평안하게 모신다는 의미에서 그렇게 지냅니다.

삼우제의 절차는 보통 상례의 절차와 같습니다.

 

그러나 차이점이 있다면 상주들이 곡을 하는 대신에 조용히 앉아서 고인을 생각하며 묵념이나 기도를 올린다는 점입니다.

그래서 이를 '재(齋)'라고도 합니다.

여기서 '삼우(三虞)'란 말은 장사지낸 뒤 세 번째 지내는 제사라는 뜻으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삼우제는 재우(再虞), 삼우(三虞), 삼우(三虞)라 씁니다.

예서에 의하면 사람이 죽으면 다음날 아침 제일 먼저 깨끗한 옷으로 갈아입히고 시신을 깨끗이 씻긴 후 흰 천에 덥어 머리 동쪽과 다리쪽에 베끼고 손톱과 발톱은 흰색, 머리카락은 검은색으로 각을 치는데 이것을 '소렴'이라합니다.

그다음 시신을 전신에 수의를 입히는데 이것을 '대렴'이라합니다.

그리고 시신을 관속에 넣고 입관 준비가 다되었음을 알리고 가족들에게 고인의 사망일시를 알립니다.

 

임종식(臨終式)이라고도 합니다.

출상전 빈소에서 행한다.

1.분향재배:향나무 향나무 향불을 피우고 제주가 7번 절한다.

2.모든조상님께 차례로 절하기 재배:초혼(招魂)때는 남상주 여상주 모두 두 번절하고 재배한다.

3.헌주 (獻酒):제주가 술잔에다 술을 가득 따라 놓는다.

(명절 차례시는 4번) 4.삽시정저 (揷匙正箸):주부가 향의자 앞에 서면 집사가 메그릇과 시접에 젓가락을 꼽아놓고 바른편에 서있다가 메에꽂힌 숟가락을 뽑아든다.

(숟가락은 바닥에 꼿는다) 집사는 제자리로 돌아가고 주부가 다시 바른편에 선다.

5.사신재배 (辭神再拜):주부가 두손을 모아 잡고 꿇어않으면 남자는 오른손,여자는 왼손을 위로 올린다.

6.철시복반 (撤屍復班):영정을 내리고 혼백이 반쯤나가면 밥,국,술잔등을 내린다.

7.분축문 (焚祝文):축문과 지방을 태워 재를 향로에 담는다.

8.철상 (徹床):지방을 거두어 축문과 함께 불사르고 상을 물린다.

9.음복 (飮福):음식을 나누어 먹으며 조상을 추모 한다.

10.철상 (撤床):제사상을 물리고 음복한다.

제사상차림 제사상차림이란 크게 5열로 진설(陳設)법,진설(眞說)법,진설의 순서로 설명할 수 있다.

1열:반서갱동(飯西羹東):밥은 서쪽(왼쪽) 국은 동쪽(오른쪽)에 위치 한다.즉 산사람의 상차림과 반대이다.

수저는 중앙에 놓는다.

2열:적탕포건(炙湯包乾):육류는 왼쪽,생선회는 오른쪽에 놓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