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nfoPost

이갈이 원인을 극복하는 법!

이갈이 원인을 극복하는 법!이갈이의 정확한 의학적 명칭은 "치아우식증"입니다.

치아우식증이 생기면 치아가 썩게 되고, 그 결과로 심한 통증과 함께 음식물의 섭취가 어려워집니다.

또한 두통이나 턱의 통증으로 인해 입을 벌리거나 다물기 어렵게 됩니다.

이런 증상들 때문에 환자분들이 치과를 찾으시지만 대부분의 경우 치료시기를 놓쳐 더 큰 병을 키우기도 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이갈이와 관련된 질환 중에서도 가장 흔한 두가지 질병인 턱관절장애(TMJ)와 편두통성두통증후군 (Migraine Headache Syndrome: MHS) 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턱관절 장애란? - 정의 및 진단방법 먼저 턱관절이란 아래턱뼈 또는 머리뼈와 옆머리 뼈 사이에 있으면서 귀 앞 부위에 위치해있는 관절로서 양쪽 귀의 바로 앞쪽까지 만져지는 곳이다.

턱관절 주위 근육들의 이상 긴장 등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하여 턱뼈 운동의 제한되어 발생한다.

이러한 턱관절 기능이상은 크게 3단계 과정을 거쳐 나타나는데 첫 번째 단계는 개구근의 문제로써 입이 잘 벌어지지 않는다.

둘째 단계는 저작근의 문제인데 음식물 덩어리나 질긴 것을 먹으면 씹기가 힘들어지며 이로 인한 통증이 생긴다.

셋째 단계는 교근 즉 얼굴근육이 비정상적인 수축운동을 하여 씹는 힘이 강해진다.

이렇게 해서 생긴 턱관절기능이상의 대표적인 예가 안면비대칭과 하악골전돌증 등이다.

2.편두통의 특징 우리나라 사람 10명중 8명은 일생동안 한번쯤 경험할 정도로 흔하다고 알려져있으며 전체 인구의 약 20%정도가 한달에 몇번씩 겪는다고 한다.

그러나 실제 병원을 찾아 진료받는 분들은 많지 않아 제대로 된 통계자료조차 없는 실정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한쪽 관자놀이 부근이 욱신거리면서 아픈것이 주증상이며 때로는 눈뒤쪽부터 목 뒤쪽 어깨부위까지 아프거나 현기증 어지러움 이명 등의 증상이 동반될 수 도 있다.

그리고 아침 기상시 혹은 식사 후 특히 잠잘때 많이 나타난다.

심하신분들은 하루종일 지속된다고 호소하시곤 하지만 보통사람에게는 그렇게 심각한 수준은 아니다.

다만 스트레스 상황일 때 심해지기때문에 마음을 편하게 갖으려고 노력해야하고 평소에도 이를 꽉 깨무는 습관을 고치려고 해야합니다.

또 하나 중요한점은 술 담배 커피 콜라 초콜렛 탄산음료등 카페인 함유식품을 피하셔야 한다는 점 입니다.

3.편두통성두통증후군의 정의 편두통성두통증후군은 편측의 박동성 두통으로서 주로 앞머리 맥박이 뛰듯이 지끈 거리듯 쑤시고 조이는 듯한 느낌이 들다가 잠시후 사라지는 반복적인 두통이 양측성인경우를 말한다.